구글 애드센스 무효 클릭 신고 하기 - 1 : IP 추적을 위한 애널리틱스, 태그관리자 기본 세팅
조회수 얼마 되지도 않는 신생 블로거인데도 무효클릭이 발생해서 두 번이나 신고했다. 이 세팅을 한지 아직 한달도 되지 않았고, 첫 신고는 세팅한 그 주였다. 상황이 이렇다보니 나중에 또 만들게 될(과연...) 블로그를 위해서, 그리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정리해 두는 글이다. 한 페이지에 몰아서 정리된 글을 보니 너무 혼란스러워서 나는 챕터를 조금 나눠서 업로드 할 예정이다.
<목차>
1. 태그 매니저(태그 관리자)와 애널리틱스 기본 세팅
1-1. 태그 관리자 - 컨테이너 만들기
1-2. 태그 관리자 - 태그 관리자 코드를 블로그 태그에 삽입하기
1-3. 애널리틱스 - 속성 만들기
1-4. 애널리틱스 - 맞춤 측정기준 만들기(IP addr)
* 추적 ID 메모
2. 태그 관리자 변수, 트리거 등 상세 세팅 등을 다룰 예정(1번 과정보다 더 복잡함)
3. 무효클릭 IP 보고서 생성 및 확인 방법, 애드센스에 신고하는 방법
2번 3번 글에서 상세 세팅, 신고를 위한 보고서 추출 방법과 신고 방법도 남길텐데 우선 세팅이 매우 중요하니 이 글에는 기초 세팅하는 방법을 다룬다. html을 접해보지 않았거나 접해보았어도 이런 세팅은 처음이라 어려울 수 있으니 차근차근 하길 권장한다. 한 페이지에 몰아있고 캡쳐가 작은 설명 보고 했다가 중간에 뭐 빼먹어서 다시 만든 부분이 있다... 그래서 내 나름의 방식으로 다시 정리하는 것이다.
나는 애드센스 통과한 지도 얼마 안되었었고, 글도 많이 없고 조회수도 많이 안 나오는데 설마 무효클릭이 있겠나 싶었다. 그래서 미루다가 한 개의 글이 다음 최상단이다보니(지금은 기간이 지난 내용이라 조회수 안 나옴) 불안해서 설치해봤다. 그리고 본 보고서에는 정말 무효클릭이 발생하고 있었다... 왜이렇게 심보가 못된걸까? 하지만 나도 어지간히 돌아이라서 나한테 해를 입히면 꼭 갚아줘야 하기 때문에 전부 찾아내서 신고를 할 것이다. 남들 무효클릭 하고 다니시는 분들 본인 애센에 IP 제재 받으시길~
1. 태그 매니저(태그 관리자)와 애널리틱스 기본 세팅
https://marketingplatform.google.com/home
구글의 태그 매니저, 애널리틱스 외에도 여러가지 서비스를 한 눈에 확인 가능한 주소로 남긴다. 활동 영역이 넓어지면 유용할 것 같다.
1-1. 태그 관리자 - 컨테이너 만들기
아래 캡쳐는 이미 계정이 만들어진 후이다. 계정 만들기를 하면서 컨테이너를 만들게 되어있으니 계정 만들기만 눌러주면 된다. 이후 컨테이너만 추가 할 경우 ··· 버튼 > 컨테이너 만들기 를 해주면 된다.
계정 이름은 원하는 대로 입력해준다.
특별히 설정할 것은 없고 아래 컨테이너 설정 부분만 아래 사진처럼 웹으로 해주면 된다.
컨테이너 이름 : 블로그 주소 > 웹 > 만들기
1-2. 태그 관리자 - 태그 관리자 코드를 블로그 태그에 삽입하기
태그 관리자 작업공간 탭에서는 어떤 카테고리에 들어가도 탭이 있는 줄에 컨테이너 ID가 보인다.
이 컨테이너 ID를 클릭하면 티스토리에 넣어줄 코드를 확인한다.
이제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를 열어
꾸미기 > 스킨편집 > html 편집
으로 들어간다.
head와 body 태그는 html에서 뼈대이다 보니 비교적 상단에 위치하여 찾기 쉬운 편이다. 블로그 테마에 따라 조금씩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스크롤을 내리지 않아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.
1-3. 애널리틱스 - 속성 만들기
속성 이름은 구분하기 편한 걸로 하면 좋을 것 같다.
접혀있는 고급 옵션 보기를 클릭해서 펼쳐준다.
유니버설 애널리틱스 속성 만들기를 활성화하고 아래 체크 사항을 반드시 확인한다.
1-4. 애널리틱스 - 맞춤 측정기준 만들기(IP addr)
관리 ⚙️(톱니바퀴) > 맞춤 측정기준
새 맞춤 측정기준 설정
IP addr 은 임의로 정한 이름이다. IP 주소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, 다른 이름으로도 지정은 가능하나 다른 곳에서 쓰이기 때문에 이름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.
* 추적 ID 메모
이후 추적 ID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리 메모해 두면 편하다.
관리 ⚙️(톱니바퀴)에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속성 이름 옆 가로에도 나와있고, 아래 속성 설정에 들어가서도 확인 가능하다.
이제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한 기본 세팅은 끝났다.
어렵다면 그림 찾기 하듯 이미지와 똑같은 설정 찾아다니며 따라 하다보면 되긴 된다. 나도 처음에 뭔 소리인가 싶어서 영혼없이 흐름대로 따라갔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 기초역량훈련 1주차 일러스트레이터 강의 후기 학습일지 (0) | 2022.07.12 |
---|---|
[애프터이펙트(After Effects)] 어도비 2020버전 설치 오류 해결 방법 - 업데이트 필요(Update Required), AEXD.aex (0) | 2022.06.18 |
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 후기 - 1 : 신청, 심사, 1회차 1차 상담, 유의사항 (0) | 2022.03.09 |
제페토(ZEPETO) 2D 템플릿 아이템 크리에이터 제작 수익 인증 및 솔직 후기 (0) | 2022.02.26 |
인천 영세 자영업자 특별 지원금 지급 확정 및 수령 완료 (0) | 2022.02.26 |
댓글